매월 세 번쨰 수요일마다 임상 적용 관점에서 바라본 심도 있는 수의학 논문 리뷰를 보내드립니다. - 벳아너스 학술위원회가 매월 세 번째 화요일마다 임상에 실질적으로 도움이 될 수 있는 논문들에 대한 상세한 리뷰를 전해드려요! |
|
|
Sodium-glucose co-transporter 2 inhibitors: Prospects for canine myxomatous mitral valve disease and finding the “right drug” and the “right dose” for dogs
|
|
|
- Mutsuki UMEZAWA, Yoko FUJII, Kensuke ORITO, Ryo YOSHIMOTO
- The Journal of Veterinary Medical Science, 4 April 2025
|
|
|
Abstact (Conclusion and clinical significance)
In canines, myxomatous mitral valve disease (MMVD) represents the most prevalent etiology of chronic heart failure. Despite the recommendation of pimobendan and loop diuretics as standard-of-care medications, MMVD remains a disease with a poor prognosis due to its progressive nature. We examined the pharmacology, safety, and pharmacokinetics of the globally approved SGLT2 inhibitors (empagliflozin, canagliflozin, and dapagliflozin) in canines in the STED. Based on these results, we propose dapagliflozin as the most favorable pharmaceutical in canines. We also discuss the potential effects of SGLT2 inhibitors on canine MMVD, considering the similarities between canine MMVD and human chronic heart failure. |
|
|
[잠실ON동물의료센터]
이다은 수의사
- (現) 잠실ON동물의료센터 내과과장 - 건국대학교 수의과대학 졸업 - 건국대학교 대학원 수의내과학 석사학위 취득 - 건국대학교 부속동물병원 인턴/레지던트 수료
|
|
|
개의 MMVD 치료는 사용할 수 있는 약물이 제한적이며, 이뇨제에 대한 저항성이나 심신증후군과 같은 부작용도 흔히 발생합니다. 사람에서 사용 중인 SGLT2 (Sodium-glucose co-transporter 2) 억제제는 이러한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새로운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으며, 본 논문에서는 개를 대상으로 한 약리학적 및 안전성 데이터를 바탕으로 SGLT2 억제제가 MMVD 치료에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
|
|
개의 이첨판폐쇄부전증 (MMVD)는 만성 심부전의 가장 흔한 원인으로, 현재까지 강심제 (pimobendan)과 루프 이뇨제 (furosemide 등)가 표준 치료로 권장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MMVD는 질환의 진행 속도를 막기 어렵고, 시간이 지날수록 심부전 악화 및 예후 불량으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아, 새로운 치료적 접근이 필요한 상황입니다.
|
|
|
SGLT2 억제제는 본래 제2형 당뇨병 치료제로 개발되었으나, 최근 사람의 만성 심부전 치료제로서도 승인을 받으면서 주목받고 있습니다. 특히 dapagliflozin, empagliflozin, canagliflozin 등의 약물은 심혈관계에 긍정적인 효과를 보이며, 기존 치료의 한계를 보완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본 논문에서는 이 세 가지 SGLT2 억제제의 약리학적 특성, 안정성, 약동학 자료를 STED (Summary Technical Documentation)문서를 기반으로 분석하였으며, 개에서의 생체 이용률과 안전성, 이뇨 효과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결과 dapagliflozin이 수의학적 적용에 가장 적합한 후보 약물로 평가되었습니다.
|
|
|
위의 그래프는 건강한 수컷 비글견에게 SGLT2 억제제 (empagliflozin, canagliflozin, dapagliflozin)를 경구 투여한 후 24시간 동안의 요당 배설량 (UGE, urinary glucose excretion)을 측정한 것이며 dapagliflozin은 낮은 용량 (5mg/kg)에서도 높은 요당 배설 효과를 보여 효율성 측면에서 가장 유리한 것으로 확인됩니다.
|
|
|
SGLT2 억제제는 신장에서 포도당과 나트륨의 재흡수를 억제함으로써, 삼투성 이뇨 작용을 유도합니다. 이 과정에서 체내 수분과 나트륨이 함께 배출되어 정맥계 울혈 완화, 혈압 감소, 좌심실의 전부하 및 후부하 감소와 같은 긍정적인 심혈관계 효과를 나타냅니다. 이는 결과적으로 심장에 가해지는 부담을 줄이고, 심부전 진행을 늦추는 데 기여할 수 있습니다.
|
|
|
루프 이뇨제는 MMVD의 Stage C 이상 심부전 환자에서 주로 사용되지만, 과도한 체액 손실로 인해 신장 기능 저하, 전해질 불균형, 저혈압 등의 부작용이 흔하게 보고됩니다. 이에 반해 SGLT2 억제제는 보다 완만한 이뇨 효과를 유발하면서도, RAAS를 활성화시키지 않기 때문에, 기존 이뇨제에 대한 저항성이 있거나 신장 손상의 우려가 있는 환자에게도 비교적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
|
|
또한, SGLT2 억제제는 단순한 이뇨 작용 외에도 심근 에너지 대사 개선, 교감신경계 억제, 항염증 효과 등 다양한 심장 보호 작용이 제안되고 있어, 단순한 혈당 강하제를 넘어서는 복합적인 작용 기전을 가진 약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
|
|
결과적으로, SGLT2 억제제는 개의 MMVD 치료에서 기존 치료의 한계를 보완할 수 있는 유망한 보조 요법으로 고려될 수 있으며, 특히 dapagliflozin은 수의학적 사용 가능성을 가장 잘 뒷받침하는 데이터가 확보되어 있는 약물로 평가됩니다. 앞으로 임상시험 및 병용 투약 안전성 평가를 통해 근거 기반의 치료 가이드라인 정립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
|
|
ACVIM 가이드라인에 따르면 MMVD의 Stage B2는 임상 증상은 없지만 심비대가 확인되는 단계로 정의됩니다. 그러나 Stage C로 진행되기 전, 일부 환자에서는 체중 감소, 호흡수 및 심박수 증가, 체온 저하 등의 전조 증상이 나타나기도 합니다. 이는 일부 Stage B2 환자에서 명백한 울혈 증상 없이도 이미 심부전이 진행 중일 가능성을 시사합니다.
|
|
|
이러한 진행된 Stage B2 환자에서는 이뇨제 사용에 대한 부담 없이 적용 가능한 약물로 SGLT2 억제제가 고려될 수 있으며, Stage C 및 D 단계의 불응성 심부전 환자에서도 대체 치료제로서의 가능성이 있습니다.
|
|
|
한 연구에서는 ACVIM MMVD B2 단계의 세 마리의 개에게 SGLT2 억제제인 velagliflozin을 체중당 0.05 mg/kg 용량으로 1일 1회 경구 투여하였고, 94일간의 중간 분석 시점까지 어떤 개도 울혈성 심부전으로 진행하지 않았습니다. 전반적으로 질병 상태는 안정적이었으며, LA/Ao 비율 및 LVIDDN 등 MMVD 진단에 사용되는 주요 지표들에서 개선 경향이 관찰되었습니다.
|
|
|
비록 3마리의 개를 대상으로 한 소규모 연구였지만, Stage B2 환자에서 질병 진행 속도를 늦추기 위한 보조 치료제로 pimobendan 외에 SGLT2 억제제도 고려해 볼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한 의미 있는 결과로 평가됩니다.
|
|
|
- Use of sglt-2 inhibitors for the prevention and/or treatment of cardiac diseases in non-human mammals excluding felines, in particular canines
|
|
|
아래 버튼을 눌러 이번 V-학술레터에 대한 구독자님의 의견을 전해주세요.
V-학술레터는 여러분의 소중한 의견을 반영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
|
|
벳아너스 Allied by iamdt
bg.kim@iamdt.co.kr 서울시 서초구 강남대로53길 8, 7층 (마이워크스페이스)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