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월 세 번쨰 수요일마다 임상 적용 관점에서 바라본 심도 있는 수의학 논문 리뷰를 보내드립니다. - 벳아너스 학술위원회가 매월 세 번째 화요일마다 임상에 실질적으로 도움이 될 수 있는 논문들에 대한 상세한 리뷰를 전해드려요! |
|
|
Evaluation of cardiac troponin I in dogs presenting to the emergency room using a point-of-care assay |
|
|
- Porter A 외 3명
- The Canadian Vet Journal, 2016 June.
|
|
|
Abstact
We used a point-of-care assay to evaluate cardiac troponin I (cTnI) in clinically normal dogs and a heterogeneous population of dogs presenting to the emergency room (ER) and to determine whether cTnI has prognostic capabilities in an ER population. Fourteen clinically normal dogs and 129 dogs presented to the ER were evaluated... |
|
|
장재혁 수의사 FM동물메디컬센터 고양점
-
(現) FM동물메디컬센터 진료수의사
제주대학교 수의과대학 학사 졸업 |
|
|
많은 경우에 NT-proBNP에 비해 Cardiac troponin I(이하 cTnI)에 대해서는 검사를 많이 하지 않고 있습니다. 해당 논문들을 통해 심장 기능 평가 외에도 응급 내원 환자의 예후 평가로 cTnI 검사를 유용하게 활용하신다면 좋겠습니다. |
|
|
심근에는 근육 수축에 관여하는 단백질 복합체인 cTnI가 존재합니다. cTnI는 심근 세포 손상 시 혈액으로 방출되기 때문에, 개에서는 다양한 심장 질환에 혈중 cTnI 농도가 증가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
|
|
일반적으로 혈중 cTnI 농도를 측정하는 것은 MMVD의 조기 평가, 폐고혈압 환자에서 심근 허혈의 존재 여부, 호흡곤란 환자에서 호흡기 유래인지 심장 질환 유래인지를 감별하는 데에 사용됩니다. |
|
|
그렇지만 원발성 심장 질환이 존재하지 않더라도, 중증 질환 환자에서는 염증성 사이토카인 등에 의해 심근 손상이 발생하게 됩니다. 이에 따라 응급 내원한 환자에서 혈중 cTnI 농도가 증가함을 유추할 수 있습니다. |
|
|
현재 국내 임상 환경에서 cTnI 농도는 외부 실험실에 의뢰하지 않고도 원내 현장 진단(point-of-care assay)을 통해 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
|
|
논문에서는 3개월 동안 대학교 부속 동물병원 응급실에 내원한 개 129마리와 건강한 개 14마리를 대조군으로 설정하여, 응급 내원 시 채혈 후 혈중 cTnI 농도를 측정하여 정상(0~0.1ng/mL), 상승(0.1ng~1.0ng/mL), 높음(>1.0ng/mL)의 세 그룹으로 나눴습니다.
|
|
|
연구 결과, 응급 내원 개 환자에서 혈중 cTnI 농도가 증가할수록 사망률이 유의미하게 높아짐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룹별 사망률은 다음과 같습니다.
|
|
|
- 정상 그룹(0~0.1ng/mL): 사망률 10% - 상승 그룹(0.1~1ng/mL): 사망률 48% - 높음 그룹(>1ng/mL): 사망률 67%
|
|
|
이로 말미암아, 응급 내원한 개 환자에서 단기 예후 평가를 위해 혈중 cTnI 농도를 측정하는 것이 유의미할 수 있습니다. |
|
|
두 케이스 모두 발가락(P3)의 골 융해, 폐 종양 전이라는 FLDS의 전형적인 사례이나, case 3과 달리 case 4에는 흉부 방사선상 뚜렷한 폐 종양 병변이 확인되지 않았습니다. case 4를 통해 흉부 방사선상 명확한 병변이 확인되지 않아도 FLDS를 배제할 수 없으며, 세포 검사가 진단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
|
|
동물병원에 내원한 중증 질환 환자는 사망 위험이 높으며, 환자의 상태와 예후를 정확하게 평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를 통해 추가적으로 어떤 치료를 제공해야 할지 판단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
|
|
Canine APPLE(Acute Patent Physiologic and Laboratory Evaluation) score는 중증 개 환자의 중증도를 평가하는 점수 시스템으로, 다양한 생리학적 수치 및 환자의 상태를 바탕으로 예후를 평가하는 데 사용합니다.
|
|
|
원발성 심장 질환이 없는 중증 개 환자의 APPLE score와 혈중 cTnI를 함께 평가한 다른 논문에서, 둘을 함께 판단했을 때 환자 예후 평가의 특이도를 높여 더욱더 정확한 환자 평가에 도움이 된다는 것이 밝혀졌습니다.
|
|
|
APPLE score에 따른 환자 예측 사망률 |
|
|
그렇다면 응급 내원한 개 환자에서 혈중 cTnI 농도를 측정하는 것이 단기 예후 평가뿐만 아니라 장기 예후 평가에도 유의미하게 사용할 수 있을까요? 답은 그렇습니다. 비록 단기적인 예후 평가에 비해 민감도와 특이도는 떨어지지만, 1년 치사율과 혈중 cTnI 농도가 유의미한 관련이 있다는 연구 결과가 있습니다.
|
|
|
하지만 아쉽게도 고양이에서는 혈중 cTnI 농도 측정이 예후 평가에는 큰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 응급 내원한 중환자 고양이에서도 혈중 cTnI가 일반적으로 증가하는 것은 맞지만, 개처럼 유의미한 예후 인자로는 사용할 수 없다는 점에 주의하셔야 할 것 같습니다.
|
|
|
심장 질환 환자뿐만 아니라, 기존 병력을 모르는 응급 내원한 개 환자에서 단기 예후 평가를 위해 cTnI 검사를 할 수 있습니다.
|
|
|
- Langhorn R, Oyama MA, King LG, Machen MC, Trafny DJ, Thawley V, Willesen JL, Tarnow I, Kjelgaard-Hansen M. Prognostic importance of myocardial injury in critically ill dogs with systemic inflammation. J Vet Intern Med. 2013 Jul-Aug;27(4):895-903
- Langhorn R, Thawley V, Oyama MA, King LG, Machen MC, Trafny DJ, Willesen JL, Tarnow I, Kjelgaard-Hansen M. Prediction of long-term outcome by measurement of serum concentration of cardiac troponins in critically ill dogs with systemic inflammation. J Vet Intern Med. 2014 Sep-Oct;28(5):1492-7
- Pelander L, Bach MBT, Ljungvall I, Willesen JL, Koch J, Dreimanis K, Telling A, Damsgard RM, Ohlsson Å, Häggström J, Langhorn R. Evaluation of cardiac troponin I as a predictor of death in critically ill cats. J Vet Intern Med. 2023 Mar;37(2):403-411.
|
|
|
아래 버튼을 눌러 이번 V-학술레터에 대한 구독자님의 의견을 전해주세요.
V-학술레터는 여러분의 소중한 의견을 반영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
|
|
벳아너스 Allied by iamdt
hi.moon@iamdt.co.kr 서울 서초구 강남대로53길 8 6층 (마이워크스페이스)
|
|
|
|
|